사회조사에 있어서는 표본을 추출이 중요합니다. 표본을 제대로 추출해야 연구결과가 신뢰성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표본추출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표본추출의 정의와 목적 표본추출의 장점 그리고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표본추출은 전체집단을 일컫는 말인 모집단에서 일부분을 추출 또는 선택하는 것으로 이 과정을 표본추출 또는 표집이라고 합니다. 표본추출을 하게 되면 조사대상을 정하게 되는 것으로 모집단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전수조사도 좋지만 현실적으로는 표본의 대표성을 고려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연구자는 표본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론과 방법을 모색한다음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게 됩니다. 표본은 기술적 통계분석에 있어서 가장 첫 번째 대상입니다. 이때 기술적 통계분석에서는 모집단은 고려하지 않고 표본의 결과만을 고려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표본으로 자료를 얻더라도 연구결과는 모집단으로 연구를 진행했을 때와 같아야 합니다.
표본추출 시 몇가지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표본추출시 편견이 들어가지 않는 모집단을 대포 할 수 있는 표본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표본이 어떤 층을 포함하고 어떤 층을 불포함하는지에 대해 연구자는 알고 있어야합니다.
표본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커야 합니다. 표본 추출 시 연구자의 임의가 아닌 절차에 따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표본추출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의 시간을 단축시켜주기 때문입니다. 특히 모집단의 규모가 커서 전수조사가 어려울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 연구결과가 일반화되기 어렵다는 점과 모집단의 크기가 워낙 작아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경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뢰성을 갖춘 표본추출이 중요합니다.
그럼 어떤 절차에 따라 표본추출이 진행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모집단을 정해야 합니다.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을 확정 지어야 합니다. 모집단은 명확하고 정밀하여야 합니다. 아울러 모집단은 연구대상이나 표본의 단위 연구범위와 기간의 요소를 명확하게 한정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표집 틀을 선정하는것입니다. 여기서 언급된 표집 틀은 모집단 내에서 조사대상자의 명단이 수록된 것으로 모집단이 확정된 다음 표본을 추출할 표집틀을 선정해야합니다. 표집틀은 모집단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요소가 중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표집방법을 결정하는 것으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집방법을 결정해야 하는데 크게 확률 표본추출방법 그리고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표집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표집방법이 결정되면 이를 토대로 표본 크기와 표집 크기를 결정하는데 이때 신뢰도를 고려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로써 표본추출의 네 가지 단계가 모두 끝이 났습니다.
위에서 결정된 방법대로 표본추출을 합니다. 여기에서는 난수표와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표본추출을 할 때 항상 염두할 것은 표본의 신뢰성입니다. 신뢰성은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표본이더라도 모집단을 대표하는지 또 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는 지를 의미합니다.
그럼 마치기 전에 아까 언급드린 표집방법의 두 가지 확률 표본추출과 비확률 표본추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확률 표본추출은 무작위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단 추출 시 모집단의 각 요소가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과 같은 것이 보장됩니다. 예를 들어 동전 또는 주사위를 활용하여 선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확률 표본추출은 사회과학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간적 여유가 적을 경우 경제적으로 표본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역사적 사건의 경우 확률표본추출로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때 비확률표본추출을 이용합니다. 비확률표본추출은 규모가 적을 경우 더 좋습니다. 그리고 조사대상이 비협조적이거나 소극적인 경우 활용하면 유용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 하나 더 알려드리면 표본의 신뢰도는 표준오차 그리고 신뢰구간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표준오차는 표본추출 시 오차를 측정하는 도구로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나타내는 것입니다. 표준오차가 클수록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고 작을수록 대표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신뢰구간은 폭은 다르지만 조건은 모두 동일한 경우 신뢰구간 내의 모집단이 얼마나 진실한지를 내포하는 것입니다.
간혹 표본 크기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 표본의 크기 같은 경우 범위가 워낙 다양하기에 연구자가 연구의 신뢰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가장 시간적으로도 적합하면서 모수를 대표할 수 있는 정도가 좋습니다.
'사회조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0) | 2021.02.10 |
---|---|
척도의 종류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1.02.10 |
사회조사의 핵심 자료 정리 방법 (0) | 2021.02.08 |
전화조사법과 우편조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1.02.05 |
인터넷조사법과 내용분석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1.02.04 |